한동안 글과 블로그에 대해서 잊고 살았다. 너무 바쁘게 살기도 했고 세 아이의 아빠가 되어서 가정을 돌보느라 너무 정신이 없어서 따로 다른 것을 해 볼 여유를 가지지 못했다. 그 사이에 코로나라는 팬데믹이 터졌고 마스크 안 쓰기로 유명한 텍사스에서 혼란속에서 거의 2년간 집에서 은둔 생활을 했어야 했으며 혼란을 틈타 이직을 하고 지금은 실리콘밸리의 산호세라는 도시로 이사와서 새로운 삶에 안착하고 있다.

지날 달에 세금 보고를 끝내고 조금 여유가 생겨 3년 간 어떤 일이 있었는지 조금씩 정리해 보려고 한다. 글로 남기는 것도 생각의 정리가 되고 내 자신에게도 의미가 생기고 또 앞으로 미국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생활, 실리콘 밸리, 그리고 여기에서의 IPO가 궁금한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는 바이다.

우선 시계를 3년 전으로 돌려 어떤 일들이 있어났는지 하나씩 설명해보고자 한다.

2020년에 나는 Kind Health라는 온라인 보험회사에서 백엔드 엔지니어로서 Node.js서버를 설계하고 REST/GraphQL 인터페이스를 만들며 회사 생활을 하고 있었다. 셋째 아이를 낳고 가족이 어느 정도 안정된 다음에 다니기 시작한 스타트업 회사였는데 오스틴이라는 도시에 걸맞는 힙한 회사였다. 회사는 기찻길 바로 옆에 있는 창고 건물에 있지만 내부는 온갖 예술가들의 작품으로 도배되어 있고 회사에서는 사원들을 위해서 탁구대, 네스프레소 커피, 전기 오토바이 등 괜찮은 편의시설들을 많이 제공했었다.

[KindHealth 회사 소개 영상 - 1:17에 본인이 잠깐등장한다]

회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보험 상품을 중개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나는 서버 전담을 하며 클라우드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중심으로 개발을 했었다. 중점으로 했던 프로젝트로는 구글 Firebase에서 AWS의 Cognito로 인증 관련 클라우드 서비스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했었고 데이터베이스를 Mongo DB에서 AWS의 RDS라고 Postgres를 쓰는 RDBMS로 전환을 담당했다. 꽤 오랜 시간의 준비끝에 성공적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했었고 큰 회사는 아니였기 때문에 백엔드 서버 관련해서는 본인이 거의 전담해서 개발을 담당하고 있었다.

2020년 3월쯤으로 기억된다. 어느 날부터 코로나가 급속하게 퍼지면서 회사 오피스에서 모여서 일하는 것이 금지되고 집에서 완전 원격모드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전에 교통 체증이 있는 시간을 피해 오전 11시에서 오후 3시 사이는 회사 오피스에서 일하고 나머지는 집에서 원격으로 접속해 일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완전히 집에서 일하게 된 것이었다.

팬데믹을 맞으면서 생긴 새로운 변화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 인터뷰 기회가 급격하게 많아졌다는 것이었다. 예전에는 최종 인터뷰가 온사이트 인터뷰라고 직접 인터뷰를 보는 회사의 건물로 가서 팀원들을 만나보고 인터뷰를 했었다. 폰 인터뷰를 통과하고 온사이트 인터뷰를 하게 되면 해당 회사에서 비행기표, 렌트 카, 호텔, 식사비 등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어느 정도 위치가 있는 테크회사에서는 기본 제공 옵션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직접 대면이 힘들어지게 되자 모든 인터뷰를 원격으로 전환하게 되어 최종 인터뷰를 보는 것이 회사 입장에서도 그리고 인터뷰를 보는 사람 입장에서도 시간적으로 비용적으로 큰 부담이 줄게 되었다. 그리고 인터뷰를 본 회사에 합격을 하더라도 그 때는 다 원격으로 일할 때라서 굳이 이사를 급하게 준비하지 않아도 되었다.

이렇게 낮아진 인터뷰의 기회 비용과 원격으로 일하는 것의 장점으로 인해 많은 리쿠루터들로부터 메일을 받게 되었다. 나도 그 때 회사에서 일한지 1년 3개월이 지나고 있어서 다른 커리어 성장 기회를 알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고 생각되었다.

미국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게 되면 대부분이 링크드인(LinkedIn)에 자신의 프로필을 올려놓게 된다. 이 프로필을 통해 리쿠루터들로부터 연락을 받게 된다. 자신의 고객사에 좋은 기회가 있는데 관심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부터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라면 내부 리쿠르터가 있어 그 사람들로부터 연락이 오기도 한다. 본인이 지금 일하는 리비안의 경우도 내부 리쿠르터가 내 링크드인 프로필을 보고 연락을 하게 된 경우였다.

리비안에 지원할 즈음에는 여러 회사로부터 연락이 와서 여러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 중에 최종 오퍼를 받은 곳은 텍사스 오스틴에 있는 Remedy라는 헬스케어 회사와 리비안이었다. 사실 Remedy에서 진행한 최종 인터뷰를 잘 끝내고 괜찮은 피드백을 받았었다. 여러 인터뷰에 지쳐 있던지라 리비안과의 최종 인터뷰는 취소할까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Remedy에 최종 오퍼를 받기 전에 요청했던 Employee Handbook이 HR관련한 사람이 휴가를 가 있는 바람에 딜레이되게 되어 혹시나 하는 마음에 리비안과의 최종 인터뷰는 스케쥴 된대로 보게 되었다.

리비안 인터뷰는 코딩 인터뷰는 상당히 만족스럽게 봤지만 시스템 디자인 인터뷰에서 내가 어떤 평가를 받았을까 조금 애매하기도 했다. 그러던중 Remedy로부터 괜찮은 조건의 잡 오퍼를 받게 되었고 결국 며칠 뒤에 오퍼 레터에 사인도 하게 되었다. 그리고 며칠 뒤에 리비안으로부터 최종 합격을 했다는 연락을 듣게 되었고 리쿠루터로부터 확인한 정보로는 Remedy보다 타이틀과 여러 조건에서 훨씬 좋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결국 와이프와 급하게 상의를 하고 여러 조건을 고려해 실리콘밸리로 가는 것이 훨씬 낫겠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미안하지만 이미 사인한 잡 오퍼를 Decline하겠다는 비즈니스 메일을 Remedy에 보내고 계속 연락하고 있던 VP of Engineering이었던 분께도 자세하게 나의 상황을 정하고 정중히 사과하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리비안은 충분한 펀딩을 기반으로 실리콘밸리에서 공격적으로 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채용하게 되었고 내가 속한 팀도 정말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 후 1년 반 만에 기업공개(IPO)도 하게 되었고 상장 첫날 100조의 시가 총액을 기록하게 된다. (미국 증권거래소 역사상 6번째로 큰 규모, 2014년 이후로는 최대 규모) 반면에 Remedy는 사업에 잘 풀리지 않았는지 나를 채용했던 임원도 1년 만에 회사를 나간 것을 보았고 2020년도에는 82명 정도를 정리해고했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참 재밌는 것이 사람의 인생이다. 그 때 만일 처음 오퍼를 받은 회사의 HR 사람이 휴가를 안 갔더라면 오퍼 레터에 사인을 해서 리비안 면접을 포기하고 그 회사에 갔을 것인데 그러면 내 인생이 어떻게 흘러갔을지 가슴을 쓸어내리게 된다.

지금은 많이 유명해졌지만 그 당시 리쿠루터로부터 연락을 받을 때는 리비안이라는 회사에 대해서 아무 것도 몰랐다. 차에 그닥 관심이 없는 나로서는 전기차라고 하면 테슬라밖에 몰랐는데 리비안이라는 회사에 대해서 듣게 되고 그 회사에 관련해서 리서치를 하기 시작했다.

리비안은 전기차 스타트업이라고 하지만 사실 2009년도에 설립되었고 2022년 3월을 기준으로 직원만 11500명 정도 달하는 대기업이다. CEO Robert “RJ” Scaringe(회사에서는 RJ라고 부른다)는 어릴 때부터 전기차에 대한 꿈을 가지고 MIT 기계과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다음에 이 전기차 업체를 창업하게 된다. 처음에는 스포츠카를 만들려고 하지만 시간이 지나 전기차 트럭(R1T)과 SUV(R1S)에 포커스를 맞춰서 전기차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게 되고 현재는 일리노이스의 노말(Normal)에 있는 공장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다.

본인은 사실 차에 대한 관심이 그렇게 많지는 않다. 미국 생활에서 차는 필수인만큼 운전도 많이 하고 일상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력셔리하고 기능이 뛰어나고 예쁜 차를 사는 것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나에게는 차라는 것은 가족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고장없고 가족이 필요한 일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충분한 존재인 것이다. 거기에 애착을 느끼거나 정말 예쁘고 좋은 차를 사야 된다는 생각은 별로 없다.

그런데 리비안에 들어가게 된 것은 웹서버 분야에서 내가 이전 회사에서 하던 일들을 GraphQL 서버 분야를Enterprise Level에서 시도를 하고 있었고 실리콘밸리의 중심이고 스탠포드 대학이 위치한 Palo Alto에서 일할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실리콘밸리라서 연봉도 상당히 괜찮았고 기존의 오스틴의 회사들과 비교해서 회사에서 주는 주식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물론 현재 이사 온 지금은 비싼 렌트비와 캘리포니아의 주세금 때문에 실제 오스틴에 살 때보다 조금 더 쪼달리게 사는 것은 있다). 아무튼 그 당시에는 리비안을 선택하는 것이 내 인생과 내 가족을 위해서는 더 좋은 선택을 하는 것 같아서 그렇게 결정했었다.

그리고 당시 코로나가 유행하고 있던 즈음이라 하루에 몇천명이 코로나로 인해 죽는 기사를 계속 보던 나는 가족과 집에서 거의 은둔 생활을 하고 있었다. 텍사스는 공화당 중심의 주로서 트럼프 지지자들이 많아서 많은 사람들이 밖에서 마스크를 거의 쓰지 않았다. 물론 가게나 몰에 갈때는 규칙이 있어서 마스크를 써야 되지만 일상적으로 길거리를 돌아다닐 때는 마스크를 쓴 사람을 거의 찾을 수가 없었다. 우리 가족은 백인들이 중심인 동네에서 거의 유일한 동양인 가족이었는데 이웃들이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이 곳에 다른 친척들이 없던 나와 와이프는 우리가 아프면 아이들을 돌볼 수 없다는 생각에 어떻게든 마스크를 쓰고 다니고 외부 사람들과도 거의 접촉을 하지 않았다. 어쩌면 그렇게 마스크를 사수하고 다니는 우리 가족을 동네 사람들은 조금 이상하게 생각할 수도 있었을 것 같다. 코로나가 번지건 말건 그 사람들은 그 전의 일상과 같이 밖에 나와서 같이 얘기하고 마스크 없이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보면서 나 자신은 그 사람들을 별로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예전에는 동네 사람들과 같이 얘기도 하고 가끔 왕래도 하고 지냈는데 코로나가 심해지면서 마스크를 거의 쓰지 않던 사람들과 거리를 두게 되었다. 아이들은 아직 어려서 밖이 어떤 상황인지도 잘 모르는데 하루 종일 거의 집에서만 지내고 밖에 나가는 것을 통제하는 아빠가 잘 이해되지 않았을 것이다. 아무튼 코로나로 인해 집에서 근무하게 되어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었지만 한창 밖에서 뛰어놀 나이인 아이들이 놀이터도 잘 가지 못해서 답답해 하는 것을 보면서 많은 곤란을 겪기도 했다.

리비안에 합류한 뒤 거의 1년 가까이를 원격으로 텍사스에서 실리콘밸리에 있는 사람들과 일을 했다. 그러다가 코로나가 조금씩 종식되는 기미를 보이자 회사에서는 팔로알토에 있는 사무실로 2021년 9월 30일까지 우리 팀의 소프트웨어 인력들이 모이기를 원했다. 그래서 이제는 캘리포니아로 이사를 가야 될 때라고 느끼고 조금씩 준비하게 되었다.

미국에서 타주로 이사를 가는 것는 절대 쉽지 않다. 새로운 도시에서 시작을 해야 되기 때문에 집을 찾는 것부터 시작해서 그 주의 새로운 규칙과 제도들을 배워야 하며 이사와서는 필요한 커넥션들을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텍사스에서는 10년을 살아서 시기마다 어떤 일들이 필요한지 자세히 잘 알았는데 캘리포니아에 와서는 처음 해 보는 자동차 매연 검사와 DMV에서 자동차 등록(텍사스보다 엄청 비싸다). 애들 학교를 등록하려고 서류를 준비해야 되고 그 서류를 준비하다보면 애들 소아과의사로부터 검사를 받고 병원으로부터 서류를 받아야 하는데 좋은 의사를 찾는 것부터 병원이 회사에서 준 의료보험으로 커버가 되는지 그런 사소한 것들을 모두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새로운 동네의 HOA(Homeowner’s Association)는 어떤 규칙이 있고, 야드의 물은 어떤 날에 줘야 하고 쓰레기는 분류를 어떻게 하고 어떤 날에 내놔야 하는지 등등 정말 많은 사소한 것들을 다 배워야 한다.

이사 비용도 상당히 비싸다. 본인은 어떻게든 비용을 줄이려고 여러 방안을 간구해보다가 컨테이너를 집 앞에 갖다놓고 짐을 다 넣어놓으면 컨테이너를 옮겨주는 PODS같은 서비스를 처음에 사용하려고 했는데 컨테이너를 갖다놓는 당일에 기사가 집 앞에 나무가지 때문에 컨테이너를 못 설치한다고 해서 부랴부랴 며칠만에 이사 업체를 구해서 이사를 했는데 이사 비용만 12,500불 정도가 들었다. 거기에다 차 2대를 캘리포니아로 보내고 비행기값, 차 렌트비까지 합치면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었는데 다행히 처음에 리비안에 입사할 때 받은 Relocation Package로 다 커버가 되어서 본인이 실제 낸 비용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렇게 여러 우여곡절을 거쳐 산호세로 온지 거의 1년이 다 되어 간다. 팔로알토에 있는 리비안 오피스에서 근무하려고 온 이사지만 이사 온 다음에 코로나 델타변이가 퍼져서 다시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것은 물 건너가게 되었다. 회사에 근무한지 거의 1년 8개월이 넘었지만 회사 오피스에 간 것은 지금까지 2번 밖에 없다. 그래도 원격으로 근무하면서 회사의 GraphQL 서버를 만들고 production 레벨의 서버까지 deploy하고 현재 전기차를 사는 사람들을 지원하고 있으니 원격으로도 일은 된다는 것을 증명해 낸 셈이다.

실리콘밸리에 온지 몇 달 되지 않아서 여기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면서도 겪기 힘들다는 내 회사의 IPO(기업공개)를 경험하게 되었다. 사실 IPO에 대한 얘기는 리비안에서 근무를 하면서도 몇 번 나왔었지만 이렇게 빨리 하게 될 줄은 몰랐다. 리비안에 들어갈 때 주식을 받는 것은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니 당연히 기대한 것이었지만 IPO를 기대하면서 들어간 것은 아니었다.

리비안은 2021년 11월 10일에 한 주 78달러에 기업 공개를 해서 거의 $12B의 자금을 모집했다. 그 당시 회사의 가치가 $66.5B정도 였으며 그 가격이 초반에는 $106.75까지 올라갔으며 한 때는 $170을 넘기도 했었다. 지금 6개월이 다 되어가는 지금은 $30불 초반을 달리고 있지만 그 당시는 시장 가치가 기존 자동차 회사인 포드와 GM을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IPO 초창기에는 주식이 계속 오르고 온갖 언론들이 보도가 줄을 이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주식 가격을 확인하고 신문 기사를 찾아봤지만 현재는 그냥 무덤덤해져서 가끔 회사 주식이 어떤지 찾아보기만 한다.

지금은 실리콘밸리에 산지 거의 10개월이 다 되어간다. 살면서 느끼는 몇가지 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날씨가 정말 좋다. : 밤에는 시원하고 낮에는 온화한 날씨가 계속 되고 비가 내리는 날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비로 그닥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야외 활동을 하기에 최적의 날씨이다. 텍사스에서는 날씨가 너무 더워서 야외 활동을 많이 하지 못했는데 여기서는 산책과 운동을 할 기회가 많다.
  • 모기가 거의 없다. : 캘리포니아 지역마다 틀릴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모기에 물린 적이 없었다. 큰 아이가 모기에 알러지가 있어서 모기가 많은 오스틴의 우리 동네에서는 저녁 가까이 되면 잘 나가질 않았다. 하지만 여기 와서는 모기에 물릴 걱정이 거의 없어졌다.
  • 집이 작다. : 텍사스는 뭐든 큼직큼직하고 땅이 넓어서 집도 큰 집에 살 수가 있는데 여기서는 집 값이 비싸고 집이 거의 대부분 오래되고 작다. 텍사스에 살던 집의 크기가 2700 sqft정도 였는데 지금 캘리포니아에서는 그 반도 안되는 1200 sqft 정도에서 살고 있다.
  • 사람들이 운전을 험하게 한다. : 아시아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텍사스보다 사람들이 운전을 험하게 하고 끼어들기를 잘 하는 것 같다.
  • 비싸다. : 다른 것은 생각보다 비싸다고 생각을 못하는데 집 값과 렌트비가 다른 지역에서는 상상을 못할 정도로 비싸다. 사실 집만 있고 렌트비 걱정만 없으면 살만한 것 같다. 다른 지역에 비해서 모든 것이 조금 더 비싸기는 한데 식료품이나 생필품이 몇 배 가격으로 비싼 것은 아니다. 다만 음식점의 메뉴는 오스틴에 비하면 1.5배에서 2배 정도인 느낌은 있다.

새로운 직장을 따라서 실리콘밸리로 이사를 와서 아직도 적응을 하고 있는 중이지만 가끔 뭔가를 사러 돌아다니면 세계적인 회사들이 즐비하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운틴뷰에 구글 본사와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 그리고 아이들 체육관에 데려다주려고 Los Gatos에 가다보면 넥플릭스 본사를 지나가게 된다. 이런 세계적인 회사들이 가득한 이 실리콘밸리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 내가 성장할 기회도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비싼 물가와 텍사스에 비해서 녹록치 않은 주거 환경의 제약이 있지만 충분히 그것을 뛰어넘을 가치가 자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